가상자산 세금, 왜 또 미뤄졌을까? 2027년부터 달라지는 현실

한국의 세금 정책을 보면 언제나 '세수를 확보하느냐'가 최우선이었던 것 같네요. 금융투자 과세와 가상자산 과세 논의도 상당한 기간 오락가락했고, 그 사이 투자자들은 기준이 대체 뭔지 정말 혼란스러웠죠. 2025년 8월 현재 기준으로 보면 금융투자소득세는 결국 폐지되었고, 가상자산 과세는 시행 시점이 2027년 1월로 미뤄진 상태입니다. 원래 2025년 1월부터 시작하기로 했던 과세가 2년 더 연기된 건데요. 정부는 "세무 인프라를 정비하고 납세 편의를 고려해야 한다"는 명분을 내세웠죠. 거래소별 원천징수 체계, 해외거래·디파이 거래의 신고 방식까지 현실적으로 준비가 필요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 뒤따랐습니다. 하지만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제도가 완전히 바뀐 것도 아니고 단순히 '시간만 벌게 했다'는 느낌이 강합니다. 👉︎ 가상자산 세금 제도 확인 2025년 현재 상황 정리 가상자산 과세 : 2027년 1월 1일부터 시행 예정. 연 250만 원 기본공제, 초과분은 국세 20% + 지방세 2%로 합계 약 22% 부과. 금융투자소득세 : 2025년 도입 예정이었지만 폐지 확정. 주식 세제는 기존 구조를 보완하는 방향으로 전환. 비트코인 ETF : 해외는 활발히 운용 중, 한국은 도입 로드맵 검토 단계. 실제 상장·거래는 미정. 왜 형평성 논란이 끊이지 않을까? 주식 투자자와 코인 투자자 모두 시장 변동성을 감수하고 있지만, 제도는 다릅니다. 주식은 세 부담을 줄여주면서 코인은 그대로 과세가 남아 있다 보니 ‘과세 차별’이라는 불만이 나와요. 특히 코인 투자층의 주력이 20~30대라 정치적 불만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죠. 대선 때 언급됐던 '코인 수익 5천만 원 비과세' 같은 공약은 실현되지 않았습니다. 실제 법령은 여전히 공제 250만 원, 세율 약 22% 구조에요. 그래서 투자자 입장에서는 정책 신뢰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어요. ...